육아

유아 예방접종

리라듀 2023. 6. 13. 22:45
반응형

유아의 예방접종

유아 예방접종은 어린 아이들을 감염병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접종하는 백신입니다.

아이들은 면역력이 취약하고 감염에 민감합니다.

때문에 예방접종을 통해 아이들의 건강을 보호하고 질병의 전파를 예방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2023 표준예방접종 일정표_ 출처:질병관리청

유아 예방접종은 보통 출생 후 몇 주에서 몇 개월 사이에 시작됩니다.

아이들은 생후 여러 차례 접종을 받아야 하며, 정해진 일정과 운영 방침에 따라 접종이 이루어집니다.

이에 우리나라에서 아이들에게 권장되는 예방접종 프로그램을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B형 간염 예방접종

B형 간염 예방접종을 신생아 시기에 시작하여 여러 차례 접종하는 것이 권장됩니다.

주로 다음과 같은 접종 일정이 따르고 있습니다:

출생 후 12시간 이내: 출생 직후에 B형 간염 예방접종을 실시합니다. 이는 B형 간염 바이러스로부터 신생아를 최대한 빠르게 보호하기 위함입니다.

1개월 이후: 출생 후 약 1개월 이후에 두 번째 접종을 실시합니다. 첫 번째 접종 이후 일정 기간이 지난 후, 면역력을 강화시키기 위해 두 번째 접종이 이루어집니다.

6개월 이후: 첫 번째와 두 번째 접종 이후 약 6개월 이후에 세 번째 접종을 실시합니다. 이를 통해 아이들의 면역력을 더욱 향상시키고 B형 간염에 대한 지속적인 보호를 제공합니다.

 

디프테리아, 파상풍, 백일해 예방접종

디프테리아, 파상풍, 백일해 예방접종은 DTaP 백신을 사용하여 실시됩니다. 이 예방접종은 아이들의 건강을 보호하고 디프테리아, 파상풍, 백일해 등의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 권장되는 프로그램입니다. 해당 질병은 박테리아에 의해 전파되며 호흡기 문제, 근육 경련 및 기타 심각한 합병증을 일으킬 수 있는 질병으로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접종 일정이 따르고 있습니다:

2, 4, 6개월: 아이들은 출생 후 2, 4, 6개월 때 DTaP 백신을 접종받습니다. 이는 아이들의 면역력을 구축하고 디프테리아, 파상풍, 백일해에 대한 초기 면역을 생성시켜줍니다.

12~15개월: 이후에는 12~15개월 때 추가적인 DTaP 접종이 이루어집니다. 이를 통해 초기 접종을 완료하고 아이들을 더욱 효과적으로 면역이 생길 수 있습니다.

4~6: 마지막으로, 4~6세에 해당하는 시기에 DTaP 백신의 부스터 접종을 실시합니다.

지속적인 면역력 유지와 디프테리아, 파상풍, 백일해 예방을 위한 시행되는 단계입니다.

 

소아마비 예방접종

소아마비는 소아마비 바이러스에 의해 전파되는 질병으로, 신경계에 영향을 주어 근육 약화, 마비 및 심호흡장애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소아마비 예방접종은 IPV (Inactivated Poliovirus Vaccine) 백신을 사용하여 시행됩니다.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접종 일정이 따르고 있습니다:

2, 4, 6개월: 아이들은 출생 후 2, 4, 6개월 때 IPV 백신을 접종받습니다.

이는 초기 면역력을 형성하고 소아마비 바이러스로부터 아이들을 보호합니다.

4~6: 46세에 해당하는 시기에 추가적인 IPV 접종이 이루어집니다.

지속적인 면역력 유지와 소아마비 예방을 위한 단계입니다.

 

홍역, 풍진, 볼거리 예방접종

홍역, 풍진, 볼거리 예방접종은 MMR 백신을 사용하여 시행됩니다.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접종 일정이 따르고 있습니다:

12~15개월: 아이들이 12~15개월 때 MMR 백신의 첫 번째 접종을 받습니다.

초기 보호를 제공하고 홍역, 풍진, 볼거리에 대한 면역력 생성을 위한 단계입니다.

4~6: 4~6세에 해당하는 시기에 MMR 백신의 부스터 접종이 이루어집니다.

 

일본뇌염 예방접종

일본뇌염 예방접종은 주로 여름철에 이루어지며, 일본뇌염 활동이 확대되는 기간에 맞추어 시행됩니다. 일본뇌염은 IJEV(일본뇌염 불활성화백신)LJEV(일본뇌염 약독화 생백신)이로 나눌 수 있는데

IJEV 1차 접종 1개월 후 2차접종을 실시합니다. 1~2차 접종은 생후 12개월 ~23개월 사이에 진행됩니다. 추가 접종은 2차 접종으로부터 11개월 후, 6, 12세에 접종합니다.

LJEV 1차 접종은 IJEV와 마찬가지로 12~23개월 사이에 진행하며 2차 접종은 1차 접종 12개월 후에 접종하게 됩니다.

 

A형 간염 예방접종

Hep A 백신으로 예방접종을 진행하며 출생 후 12~23개월에 첫 번째 접종을 실시합니다.

6~12: 추가적인 접종을 위한 부스터(DTaP-IPV-Hib-HepB) 접종이 이루어집니다.

 

폐렴구균 예방접종

2, 4, 6개월: 출생 후 2, 4, 6개월 때 폐렴구균 예방접종을 받습니다.

12~15개월: 추가적인 폐렴구균 접종이 이루어집니다.

초기 접종을 보완하고 지속적인 면역력을 유지하기 위해 접종이 필요합니다.

 

수두 예방접종

VAR 백신을 접종하며 12~15개월 때 수두 예방접종을 받습니다.

4~6: 추가적인 수두 예방접종이 이루어집니다.

4~6세에 해당하는 시기의 부스터 접종은 지속적인 면역력을 유지하고 수두에 대한 예방을 강화하기 위한 접종입니다.

 

BCG(결핵) 접종

BCG는 결핵을 예방하기 위해 사용되는 백신입니다.

결핵균을 약화시킨 Mycobacterium bovis의 생종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대부분의 경우 신생아 기간 내에 1개월 이내에 시행됩니다.

다만, 태아를 대상으로 한 출생 직후 접종도 가능합니다.

 

HPV(인간 유두종 바이러스) 접종

HPV 예방접종은 주로 다음 두 가지 백신이 사용됩니다

 

Cervarix: Cervarix HPV 16, 18형에 대한 면역력을 유발하기 위해 사용되는 백신입니다.

이 백신은 자궁경부암과 연관된 고위험 HPV 형에 대한 보호를 제공합니다.

 

Gardasil 9: Gardasil 9 HPV 6, 11, 16, 18, 31, 33, 45, 52, 58형에 대한 면역력을 유발하기 위해 사용되는 백신입니다.

이 백신은 자궁경부암을 비롯한 여러 종류의 암과 관련된 HPV 형에 대한 보호를 제공합니다.

 

11~12세 여아에서 6~12개월간의 간격으로 2회 접종합니다.

2가와 4가 백신이 있으나 백신 간 교차접종은 추천하지 않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