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육아

신생아 혈관종 및 체리혈관종(딸기, 버찌)

by 리라듀 2023. 6. 29.
반응형

혈관종이란?

혈관종은 혈관이 비정상적으로 발달하여 피부 위로 올라온 양성 종양입니다.

대부분은 선천적으로 갖고 태어나거나 출생 후 몇 주 내에 나타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여자아이에게 남자아이보다 더 많이 발생하며 조산아나 쌍둥이에서 발병할 확률이 높습니다.

 

혈관종은 다양한 종류가 있지만, 흔하게 발생하는 종류를 알아보겠습니다.

종류 및 치료방법

딸기혈관종 (표재성 혈관종)

딸기혈관종은 혈관이 비정상적으로 발달하여 피부 위로 올라온 일종의 양성 종양입니다.

이 혈관종은 신생아들이 태어나면서 가장 흔하게 발생하는 혈관성 질환 중 하나입니다.

 

과거에는 딸기혈관종이라고 불리기도 했는데 딸기처럼 빨간색의 점이나 덩어리로 피부에 나타나는 특징 때문입니다.

대개는 출생 직후부터 몇 주 안에 발생하며, 아기의 피부 표면에 평평한 반점 형태로 시작합니다.

이후 약 3개월까지는 크기가 커지며 피부 위로 돌출됩니다.

18개월까지 크기가 계속 커지다가 점차 작아지며 사라집니다.

 

보통 자연적으로 사라지는 경향을 가지고 있지만 큰 혈관종은 사라지더라도

피부 팽창, 피부 위축, 저색소반 등 약간의 흉터를 남길 수 있습니다.

 

중요한 점은 직접 긁거나 자극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긁는 행위는 상처, 출혈, 감염, 궤양 등의 합병증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경우에는 큰 문제가 되지 않지만 치료방법으로는 레이저 치료가 주로 사용됩니다.

이를 통해 혈관을 파괴하고 크기를 줄일 수 있습니다.

 

체리혈관종 (버찌혈관종)

혈관이 비정상적으로 발달하여 피부 위로 돌출되는 형태로 나타나는 혈관성 종양입니다.

주로 성인들에게서 더 빈번하게 발생하는데, 30~40대 이후에 더욱 흔하게 나타납니다.

보통 붉은색으로 나타나지만, 드물게는 보라색이나 파란색으로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

 

체리혈관종은 피부 노화로 인한 혈관, 콜라겐, 색소 등의 변화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특별한 원인이나 유전적인 요인과는 연관성이 적습니다.

때문에 피부에 원래 없던 빨간 점이 갑자기 생겼다면, 이는 자연적인 현상이므로 크게 걱정하지 않아도 됩니다.

 

일반적으로 체리혈관종은 건강에 지장을 주지 않습니다.

그러나 얼굴이나 다른 노출이 많은 부위에 위치한 경우, 외모적인 이유로 인해 치료를 원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 경우, 약물 치료나 레이저 치료 등을 통해 제거할 수 있습니다.

 레이저를 통해 혈관 내부의 히트를 증가시켜 혈관을 파괴하고, 그로 인해 종양이 작아지거나 사라질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한 세션의 레이저 치료로도 효과를 얻을 수 있지만, 경우에 따라 여러 번의 치료가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또한, 피부에 위치한 체리혈관종을 제거하기 위해 약물 치료도 사용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약물은 혈관을 수축시켜 혈류를 차단하거나 혈관 내부의 세포를 파괴하여 체리혈관종의 크기를 줄이는 역할을 합니다. 약물 치료는 일반적으로 레이저 치료보다는 효과가 적을 수 있지만, 특정한 경우에는 유용한 대안이 될 수 있습니다.

 

신생아 혈관종은 대부분 건강상 큰 문제가 없습니다.

보통은 생후 1~3개월 사이에 발생해 5개월 정도면 성장이 멈추고 12개월 이후로 점점 작아지기 시작합니다.

큰 혈관종은 피부 팽창, 위축, 저색소반 등의 약간의 흉터를 남길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신생아 혈관종은 자연적으로 사라지지만 크기가 너무 크거나

특정 부위에 발생 혹은 합병증이 있는 경우에는 제거할 필요가 있습니다.

 

화염상 모반

화염상 모반은 신생아의 피부에 붉게 생기는 혈관성 이상입니다.

주로 "신생아 연어반" "포도주색 반점"으로 나뉩니다.

신생아 연어반은 붉은 색상이고 일반적인 양성 혈관종과는 달리 자연적으로 사라지지 않고 평생 동안 지속됩니다.

포도주색 반점은 포도주색을 띠며 더 어두워지고 두껍고 각화된 상태로 남게 됩니다.

 

화염상 모반은 유아기 이후에도 점차 짙어지고 더 두꺼워져서 피부 표면에 각화(딱딱해짐)된 상태로 남을 수 있습니다.

이 혈관 이상은 대부분 자연적으로 사라지지 않기 때문에 전문의와 상의하여 제거하는 것이 좋습니다.

 

화염상 모반의 치료 방법에는 레이저 치료, 외과적 절제, 약물 치료 등이 있습니다.

레이저 치료는 일반적으로 가장 효과적인 방법 중 하나로, 레이저를 사용하여 혈관을 파괴하고 모반을 작아지게 또는 사라지게 할 수 있습니다.

외과적 절제는 모반을 외과적으로 제거하는 방법이며, 크기나 위치에 따라 적절한 수술 절차를 선택합니다.

약물 치료는 혈관을 수축시켜 혈류를 차단하거나 혈관 내부의 세포를 파괴하여 모반의 크기를 줄이는 역할을 합니다.

 

또한, 유아기에는 자아가 형성되기 때문에 외모에 민감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화염상 모반으로 인한 심리적인 부담이나 문제가 있다면 심리적 치료나 상담도 고려될 수 있습니다.

 

혈관종과 화염상 모반에 대해서는 전문 의료진의 조언과 치료를 받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신생아 혈관종의 대부분은 자연적으로 사라집니다.

특정한 경우에는 치료가 필요할 수 있으므로 부모님은 소아과 전문의와 상담하여

아이의 상태와 적절한 치료 방법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이 좋습니다.

반응형

'육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아 야뇨증 원인과 증상 그리고 치료방법  (1) 2023.07.05
돌발진 아기 열내리는 법  (0) 2023.06.30
우리아이 첫 이유식  (1) 2023.06.28
소아 ADHD  (0) 2023.06.27
여름철 눈병 예방 및 치료  (0) 2023.06.26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