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육아

신생아 반사운동과 행동측정

by 리라듀 2023. 5. 8.
반응형

신생아의 반사운동

신생아는 외부와 상호작용하기 위해 준비가 이미 되어 있습니다. 이는 여러 가지 반사운동을 선천적으로 가지고 태어납니다. 그러나 자기의 의지라기 보다는 오히려 원시적, 본능적 반응에 의한 것입니다. 신생아의 반사운동은 신생아의 생존에 필요한 능력인 생존 반사와 생존에 필수적인 능력은 아니지만 이후의 의식적인 운동으로 발전하게 되는 특수반사로 나눌 수 있습니다.

1. 생존 반사 - 외부 세계에서 생존해 나갈 수 있도록 도와주는 반사능력

1) 탐지반사(searching reflex)

찾기 반사(rooting reflex)라고도 하며, 신생아의 뺨을 만져주거나 입가를 건드릴 때 나타납니다. 신생아가 무엇인가를 빨려고 애쓰면서 건드린 쪽으로 고개를 돌리는 반응으로 생후 3~4개월 이후에는 사라집니다. 추후 영아가 자발적으로 먹는 행위로 대체 됩니다.

 

2) 빨기 반사(sucking reflex)
신생아의 입가에 놓인 물체를 자동적으로 빠는 행동입니다. 빨기 반사는 근원 반사와 마찬가지로 생존을 위해 타고난 반사 행동으로 생후 3~4개월 이후에는 사라집니다.

 

3) 기침반사(coughing reflex), 재채기 반사(sneezing reflex)

신생아의 생리적 기능을 유지해주는 행위의 하나모 기관 내에 있는 이물질, 자극물 또는 과다 분비된 분비물을 제거하여 기도를 깨끗이 하게 하여 몸을 보호해 줍니다.

 

4) 하품반사(yawning reflex)

신생아에게 갑작스럽에 요구되는 산소의 공급이 있을때 일어나는 반사작용입니다.

 

5) 동공반사(pupillary reflex)

빛의 변화나 조졸에 대한 눈동자의 반사반응으로 영구적 혹은 지속적으로 나타나는 반사반응입니다.

 

6) 눈 깜박 반사(blink reflex)

갑작스러운 강한 자극에 대한 반사반응이며 영구적인 반사반응입니다.

 

2. 특수반사 (원시반사)

1) 모로반사(Moro reflex)

 

소음이나 갑작스런 머리 위치의 변화에 대해 팔을 밖으로 펼치고 등을 구부리고 마치 무언가를 잡으려는 것처럼 팔을 서로 감싸 안는 행동으로 생후 일주일 정도에 보이기 시작 했다가 생후4~6개월 사이에 사라집니다.

계속적으로 예기치 않은 소리, 신체지지가 없어지는 것에 대해 놀람반사로 반응으로 정상적 신경발달의 지표, 출생 시 뇌 손상이 있다면 모로반사가 나타나지 않습니다.
   

2) 바빈스키 반사(Babinski reflex)
발바닥을 건드렸을 때 발가락을 활짝 편 다음 구부리는 행동으로 생후 첫9개월~1년 사이에 사라집니다.
출생 시에 나타나지만 생후9개월~1년 내에 사라지고 이는 정상적 신경발달의 지표가 됩니다.

 

3)파악 반사(grasping reflex)
아기의 손바닥을 건드리면 대상들 주변으로 손가락을 구부리는 행동으로 신생아의 손바닥에 물건을 쥐어주면 그것을 빼내기 힘들 정도로 꼭 쥐는 반응입니다. 생후 3~4개월에 사라지고 자발적 잡기로 대체되며 출생 시에 나타나지만 생후 1년 내에 사라지는 것은 정상적 신경발달의 지표가 됩니다.

④걷기 반사(stepping reflex)
평면에 발이 닿으면 몸을 곧게 한 영아가 마치 걷는 것처럼 걸음을 내딛는 행동으로 영아가 이 반응을 연습할 기회가 없는 한 첫 8주내에 사라집니다. 출생 시에 나타나지만 생후 3~4개월 내에 사라지며 정상적 신경발달의 지표가 됩니다.

⑤수영 반사(swimming reflex)
아기의 배부분을 받쳐주면 아기는 팔과 다리를 교대로 움직이며, 입으로 숨을 쉬어 마치 수영을 하는 것 같은 모습을 보입니다. 생후 3개월쯤 나타나며 6개월 사이에 사라집니다.

 

2. 신생아 측정법

1) 아프가스카일(Apgar scale)

 출생 직후 신생아의 신체 상태를 평가하는 의학적 평가 기준으로 이것은 1952년 미국 마취과 의사 버지니아 아프가(Virginia Apgar)에 의해 개발되었습니다. 아프가스케일은 신생아의 상태를 빠르고 쉽게 평가할 수 있으며 즉각적인 의료 관찰 또는 추가 모니터링이 필요한 신생아를 식별하는 데 사용됩니다.
해당 측정법은 신생아의 외모, 맥박, 주름, 활동, 호흡을 평가합니다. 각각의 5개 영역은 0부터 2까지의 점수로 평가되며 최대 10점까지 총점이 나옵니다. 점수는 정확성을 위해 출생 후 1분과 5분에 반복검사를 진행합니다.  7점을 기준으로 7점이상의 아기들을 양호한 신체상태를 가지고 있다고 평가하며 7점 이하는 신체기능이 완전하지 못함으로 의료적인 도움을 받아야 합니다. 또한 4점 이하인 경우는 위험한 상태이므로 즉각적인 의료처치를 받아야 합니다.

신생아의 활동, 맥박, 자극에 대한 반응, 피부색, 호흡과 같은 다섯 가지 표준 특성들    을 살펴보고 각각 0~2점으로 만점은 10점이다.
외모 점수는 신생아 피부색을 평가하여 핑크는 2점 파란색은 0점입니다. 맥박 점수는 신생아의 심박수를 평가하며 강하고 규칙적인 심박수는 2점, 심박수가 없을 경우 0점입니다. 찡그리기 점수는 자극에 대한 신생아의 반사적 반응을 평가하며 재채기, 기침 또는 울음소리가 나는 경우 2점, 반응이 없는 경우 0점입니다. 활동 점수는 신생아의 근육 긴장도와 움직임을 평가하며 강한 울음소리와 활동적인 움직임은 2점, 움직임이 없거나 무력한 경우 0점입니다. 호흡 점수는 신생아의 호흡 노력과 속도를 평가하여 강하고 규칙적인 울음소리가 나는 경우 2점, 호흡이 없는 경우 0점입니다.

 

2)브레젤톤 행동평가 척도

신생아 행동평가 척도(Neonatal Behavioral Assessment Scale, NBAS)는 신생아의 행동 및 발달 상태를 평가하는 데 사용되는 척도입니다. 이 척도는 1973년에 브라질리아스(Brazelton)와 나웰스(Nugent)에 의해 개발되었으며, 그 후에 여러 차례 수정되어 현재의 형태가 되었습니다.

NBAS는 28일 이내의 신생아를 대상으로 합니다, 체온, 심박수, 호흡 등 신생아의 생리적 반응뿐 아니라 수면, 깨어있음, 울음 등의 행동을 함께 평가합니다. 이 척도는 신생아의 신체적, 정서적, 인지적 발달 상태를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신생아의 발달 문제를 조기에 파악하는 방법입니다. 아기의 행동 레퍼토리와 신경학적 안녕에 대한 보다 미세한 측정하여 건강에 대한 전반적인 평가를 위한 검사입니다. 따라서 타고난 반사의 강도, 영아의 상태 변화, 및 달래는 것과 같은 사회적 자극들에 대해 반응을 측정 (18가지 반사와 28개의 행동 항목)합니다. 이 검사로 다양한 일상 경험에 대해 반응이 느린 아기를 조기에 확인 할 수 도 있습니다.

NBAS는 약 30분에서 1시간 정도 소요되며 점수는 평균수행이 아닌 최고 수행수준을 알아보는 검사입니다.

아프가척도 보다 앞으로 아기의 발달을 예측하는데 더 나은 지표라고 볼 수 있습니다.

 

3) 덴버 발달 선별 검사(Denver Development Screening Test: DDST)

 0세에서 6세까지의 어린이의 발달 상태를 검사하는 검사 방법입니다. 덴버 발달 선별 검사는 인지, 언어, 사회 및 자가 능력 등의 발달 영역을 평가합니다. 검사는 간단한 인터뷰, 관찰 및 작업으로 이루어지며, 어린이의 발달 수준을 나타내는 "정상 범위"와 "위험 범위"로 분류합니다. 생후 1개월에서 6세까지의 아동을 직접 관찰하거나 돌보는 이의 보고를 자료로 해서 검사를 진행하며 전체 운동발달, 언어 발달, 미세운동, 사회성 발달 영역의 4영역, 총 105개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보통 어린이가 90%가 통과 하는 것을 통과하지 못하면 지연발달 항목을 갖는 것으로 간주하며, 지연 항목의 수에 따라서 발달의 정도를 결정합니다. 발달정도는 아래와 같습니다.

 

비정상 발달: 두 영역 이상에서 2개 이상의 지연 발달 항목이 있다.

의심스런 발달: 한 영역에서 2개 이상의 지연 발달 항목이 있다.
정상 발달: 지연발달 항목이 없다.

 

이 검사는 아기의 지능을 측정하는 것이 아니라 비정상적으로 발달 할지 모르는 것을 미리 발견하기 위한 것입니다.

 

3. 신생아의 개인차

신체적인 손상을 가진 아기를 제외하고는 출산 시 모든 신생아들은 유사한 감각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같은 종류의 경험을 합니다. 한편으로 신생아들에게도 개인 차이가 있습니다. 그러므로 그중에서도 기질의 차이로 다양한 행동 및 반응에서 나타내기도 합니다.

반응형

'육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2세, 3세 발달 특성  (0) 2023.05.11
1세 발달특성  (1) 2023.05.11
0세 발달 특성 (0~12개월)  (0) 2023.05.09
신생아 인지달발 및 정서발달  (0) 2023.05.08
아동 발달 단계 및 특성_신생아기  (0) 2023.05.08

댓글